최근 마약 관련 보도가 미디어에 자주 노출되고 있다. 한때 마약 청정국이라고 불리던 대한민국이 마약에 찌들어가기 시작했다. 국민의힘 최영희 의원이 법무부로부터 받은 '마약사범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마약사범의 수는 2017년 14,123명에서 2021년 16,153명으로 늘어났지만, 증가세는 완만했다. 반면, 40세 이하 마약사범의 수는 2017년 5,907명에서 2021년 9,623명으로 160%가 늘어 급증세를 보였다. 젊은 층을 중심으로 마약이 퍼지고 있다는 의미다.
한국 사회ㅣ출처: 게티 이미지뱅크
가장 안타까운 점은 청소년들조차 마약에 손을 대고 있다는 사실이다. 최 의원은 “최근 청소년을 비롯한 젊은 세대에서 마약류를 불법 처방, 오남용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적발되고 있다”라고 밝히며, "밝은 미래를 꿈꾸며 대한민국의 앞날을 이끌어나가야 할 젊은 세대가 한순간의 실수로 마약사범이 되고 중독이 될 수도 있는 만큼, 후속적인 관리 강화와 함께 불법 마약류 차단에 대한 선제 조치가 절실히 요구된다”라고 전했다. 그렇다면 왜 우리 청소년들이 마약에 손을 대기 시작할까? 하이닥 정신건강의학과 상담의사 권순모 원장(마음숲길정신건강의학과의원)과 함께 자세히 알아본다.
10대들이 마약에 빠지는 이유
청소년 시기에도 뇌 발달은 여전히 진행 중입니다. 고등한 행동 및 사고를 담당하는 부분이나 감정 및 그와 관련된 행동을 주관하는 부분의 발달이 두드러지고 강렬한 감정을 처리하는 편도체도 발달합니다. 이에 따라 이전에 비해 어른스러움도 증가하지만, 감정적인 부분도 예민해지고 극적인 결과를 가져오기도 합니다. 특히 청소년기 시기에는 보상행동을 담당하는 보상회로의 활성이 가장 활발한 시기입니다.
보상회로는 행동을 반복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우리 뇌의 시스템입니다. 식사나 성행위 등의 행동을 통해 즐거움을 느끼면서, 본인이나 종족의 생존에 필수적인 활동을 유지하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중뇌에 있는 복측피개영역과 측좌핵, 해마, 편도체, 전전두엽으로 이어지는 보상회로가 작동되면 그 행동은 강화가 되며 지나치면 중독으로 이어집니다. 청소년기는 이성적인 행동이나 사고가 발달하는 과정이고, 보상회로에 의한 영향이 어느 때보다도 크기 때문에 중독에 취약할 수밖에 없습니다. 또한 비슷한 이유로 중독 시기가 빠를수록 중독의 굴레를 벗어나는 것은 어려워집니다.
특히 청소년기에는 또래 집단의 영향이 매우 큰 시기입니다. 사실 또래 집단의 반응 역시 중요한 보상의 일종입니다. 긍정적인 주변 반응은 그 행동의 실질적인 가치 판단과 별개로 그 행동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주변의 많은 친구들이 마약을 하면서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거나 마약을 하지 않는 것에 대한 부정적인 반응, 예를 들어 따돌림이나 그것도 못 하냐며 무시 등을 한다면 마약에 손댈 가능성은 높아집니다. 일단 마약에 손을 대면 그 이후로는 앞서 언급한 보상회로의 폭발적인 작용으로 인해 심한 중독 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한 번 시작하면 끊을 수 없는 마약의 굴레
마약뿐만 아니라 술, 담배 등 대부분 중독을 일으키는 물질은 처음에는 긍정적인 효과를 위해 사용합니다. 단순히 기분이 좋아지고 싶어서, 심한 스트레스나 우울감에서 벗어나고 싶어서, 일이나 운동 능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물론 단순한 호기심에 의해서 시작하는 예도 있습니다. 특히 청소년기에는 또래 집단과의 관계 등이 주요한 이유 중 하나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런 긍정적인 효과를 위해 처음 접한 마약은 칭찬, 맛있는 음식 등 자연적인 자극에 비해 훨씬 더 강력한 보상을 경험하게 합니다. 그러면 더 이상 자연적인 자극으로 인한 보상은 즐거움을 가져다주지 못하고 더 강한 보상을 위한 자극을 찾게 됩니다. 마약으로 인한 보상은 마약 외에는 만족감을 가져다주지 못하며, 마약 역시도 내성이 생기므로 점점 더 많은 양의 마약이나 자극이 강력한 다른 종류의 마약을 찾게 됩니다. 결국 마약을 해서 즐거운 상태가 아니라, 하지 않으면 너무나 우울하고 힘든 상태가 됩니다. 이 밖에도 마약 중독은 우리 뇌의 전반적인 기능을 망가뜨리기 때문에 우울감 등의 감정 문제는 물론이고, 기본적인 사고, 행동 문제, 성격 변화 등의 많은 정신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2편에서 계속됩니다)
도움말= 하이닥 상담의사 권순모 원장(마음숲길정신건강의학과의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