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질환·치료

광대 축소술 후 발생한 여러 가지 부작용으로 광대재수술 및 광대재건수술을 고민, 시행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하지만, 광대재수술이 필요할지, 광대재건수술이 필요할지는 환자의 수술 전 뼈 상태 확인을 위한 광대축소술 수술 전 3D CT의 확인이 꼭 필요하며, 광대축소술 후 광대골편의 길이가 매우 중요하다. 실제 몇 가지 사례를 들어본다.

성인성인

첫 번째 환자분은 광대축소술후 광대활은 양측고정으로 어느정도 골유합 및 광대의 안전성을 회복하였지만, 약간의 하방변위가 있었다.

이때 고민해야 할 부분은 광대를 재절골하여 수술 전 상태로 원위치시키는 광대재수술을 시행해야 할지, 광대를 재절골하지 않고 함몰 교정을 위해 보형물을 사용해야 할지 정해야 한다.

이때 가장 큰 변수로 작용하는 것이 절골되고 남아있는 광대골편의 길이와 볼륨이 재절골에 적합한지 확인하는 것이며, 확인을 위해서는 광대축소술을 하기전의 3D CT 사진을 통해서 광대의 돌출과 형태가 재절골을 통해서 회복이 될 수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필수적이다.

두번째 환자분은 광대 축소술 후 광대골편의 골흡수로 인해 광대 골편의 길이가 짧아지고 하방변위된 상태로 체부의 광대갭을 회복하면, 광대활과 측두골의 결함을 만들 수 없는 짧은 광대 골편을 가지고 있다.

또한, 재절골을 통한 광대재수술은 광대체부의 갭만을 복원할 수 있을 뿐 광대활의 돌출은 얻을 수 없으며, 측두골과 연속성을 회복할 수 없는 상태였다.

다만, 보형물을 통한 광대재건수술을 시행한다면, 하방변위된 광대를 상방으로 이동시키지 못하는 단점이 있으며, 저작근은 광대활 하부에 위치하기에 근육이 붙는 광대활은 보형물로 덮지 못하는 단점이 존재하게 된다.

이러한 함몰 광대활의 돌출 회복은 재절골을 통해서 복원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굉장히 불가능에 가까운 것이 사실이다.

이유는 절골을 통한 뼈의 이동은 절골과정에서 톱이 지나가는 자리에서 1mm 이상의 뼈가 손실되고, 절골부위가 두부위인 광대축소술의 경우 최소 2mm의 골 손실이 필수적이고, 회복과정에서 그 이상의 뼈가 흡수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단순한 광대갭 만을 복원하기 위한 경우를 제외한다면, 실질적으로 ‘광대재건수술’을, 수술 전 모습으로 재건을 원한다면, ‘보형물을 통한 광대재건수술’ 이 유일한 대안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자가골이식은 어떤가?'라고 묻는 환자분들이 꽤 있다. 물론 자가골 이식이 안전성 면에서는 우수할 수는 있으나 자가골 이식은 광대활의 곡면을 매끄럽게 만들어 주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뼈 흡수가 환자에 따라 굉장히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안정적인 결과를 보이지 못하고, 이식한 자가골을 고정하기 위해 많은 금속고정을 필요로 하기에 보형물과 유사한 정도의 이물질 사용이 필요하다는 딜레마가 존재한다.

광대축소술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이점 꼭 참고하시길 바라며, 광대재수술 및 광대재건수술을 준비하시는 분들께서도 참고하시길 바란다.

<글 = 하이닥 의학기자 백정환 원장 (성형외과 전문의)>

  • 공유하기

    주소 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trl + v 를 눌러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하세요.

    확인
    닫기
백정환 에이치성형외과의원 전문의
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