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메디컬뉴스

“e-헬스를 전담하는 정부기관이 필요하다”

영국 경제전문 매체인 '이코노미스트' 산하의 경제 연구소인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니트(Economist Intelligence Unit)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이처럼 소개했다.

특히, 글로벌 수준의 의료술, 선진국에서도 벤치마킹 대상인 건강보험제도와 함께 세계 최고 인터넷 보급률을 자랑하는 한국에 정부 차원의 e-헬스 전담 기구 설치가 제기됐다.

보고서에는 e-헬스는 의료체계에 대한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추적이며 이 전담 기구가 있는 미국 등 사례가 포함됐다.

미국의 경우 오바마 대통령이 건보제도 개혁의 일환으로, e-헬스산업을 내세웠고, 경기부양자금 20조원을 e-헬스 도입 및 확산에 배정하는 등 큰 관심을 끌고 있다. 
이 보고서는 아울러, 의사들에게 정보통신기술(ICT) 교육을 강력히 권고하고 있다. 의사 자격 평가에 IT 교육 의무화를 포함하도록 했다.

보고서는 환자들에게도 e-헬스 참여를 유도하는 정책을 시행함으로써, e-헬스가 커뮤니케이션과 삶의 질을 높이는 데 크게 이바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렇다면 한국의 현 상황은 어떤가. 정부는 e-헬스 활성화 정책을 펴고 있지만, 원격진료 등 제도화 추진이 제자리 상태로 알려져 있다.

이 보고서에는 한국의 여러 의료정보 프로젝트가 시범 단계에 머물러 있고, 의료계나 민간 부문의 폭넓은 참여를 이끌어내지 못했다고 지적되기도 했다.

다만, 요즘 서울대병원과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등이 헬스케어 융합기술 합작기업 설립 포함 의료와 ICT 접목을 위해 SKT와 KT 등과 잇따라 손을 잡고 있다.
이들은 ▲ 예방-진단-치료-관리가 연계된 ‘차세대 의료서비스 모델’ 개발 ▲ ICT 기반의 디지털병원 외국 진출 ▲ 국내 헬스케어 기술 발전을 위한 공동 연구개발(R&D)이라는 3가지 큰 축을 중심으로 사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스마트 헬스케어’도 부각되고 있다. 스마트 헬스케어는 예방, 검사, 관리 등 '웰니스(wellness)' 서비스 또는 의료기관의 전문진료 과정에 ICT 솔루션을 합해 새로운 개념의 의료 서비스. 운동 중 혈압, 혈당 등 몸 상태를 실시간으로 체크, 위험수치 도달 때 스마트 기기로 경보음 알림을 제공하거나 상황별 응급처치 요령을 현장에서 알 수 있도록 돼있다

서울대병원 정희원 원장은 “최고 의료진과 최고 기술 업체가 손을 잡고 미래형 헬스케어모델을 연구 개발함으로써 신뢰할 수 있는 자기 주도적 차세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의료 소비자의 고객만족도를 높이며, 나아가 의료선진화를 통한 국제경쟁력을 제고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SKT 하성민 사장은 ”회사는 그동안 의료 부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차별화한 기술과 역량을 활용해 ICT 기반의 헬스케어 사업을 준비해 왔고, 헬스케어 전담 조직도 구성했다"며 "미래 융합 헬스케어 기술 선도를 통한 혁신적인 의료서비스 모델을 제시하기 위해 의료 및 ICT 각 부문의 최고가 만나 헬스케어산업의 새로운 방향을 찾고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화답하기도 했다.

  • 공유하기

    주소 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trl + v 를 눌러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하세요.

    확인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