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질환·치료

예로부터 간은 일상 대화 중에도 흔히 등장하는 장기입니다.
“간도 크다”, “간이 부었나?”, “간이 콩알만해졌다”, “간에 기별도 안 간다” 이런 말들이 있습니다. 마지막 말은 먹은 음식의 양이 적어서 간까지 가 보지도 못했다는 뜻인데, 실제 아무리 적은 양의 음식을 먹었다고 하더라도 간은 이 음식이 좋은 영양소이면 대사를 해서 영양분으로 흡수하고, 해로운 것이면 해독해서 체외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간기능이 저하되면 생명유지가 힘들만큼 간은 중요합니다.

◆ 간을 아끼는 3가지 방법

간

간을 아끼는 방법 ▲첫째는 간염예방접종입니다. 본인이 아직 항체가 없다면 예방접종을 먼저 하시길 바랍니다. ▲둘째는 B형간염 보유자라면 꼭 방심하지 마시고 6개월마다 정기검진을 받으십시오. 마지막으로 간이 안 좋을 때만 나타나는 특별한 증상은 없습니다. ▲평소보다 더 쉽게 피곤하다면 ‘피곤은 간때문이라고’ 피로회복제로만 해결할 것이 아니라 간단한 혈액검사로 간염여부를 확인해 보는 습관이 중요하겠습니다.

# 간염바이러스 알기

간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A-G까지 6-7가지가 있는데, 이건 바이러스가 발견된 순서에 따라서 붙여진 것입니다. 즉 A형 간염 바이러스가 제일 먼저 발견된 것이죠. 이들 바이러스 중 B형과 C형간염이 중요한 이유는 이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급성간염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일부에선 만성간염으로 진행되어 간경화를 일으키고 결국 간암으로도 진행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A형간염은 만성으로 되진 않지만 물이나 음식을 통해서 쉽게 전염되어 학교나 군대에서 집단으로 발생하는 것 때문에 국민들의 경각심이 있는 것 같습니다.

만성간염에서 간경변증으로 진행하는 것은 B형간염이 장기간에 걸쳐 반복적으로 발생하거나 간혹 심하게 악화되는 결과로 가랑비에 옷 젖듯 본인도 모르는 사이 간에 흉터가 생겨서 발생합니다. 활동성간염의 경우는 10년 뒤 20%이상에서 간경화로, 10%이상이 간암으로 발전합니다.

# B형간염인 경우 최소 6개월마다 검사하기

이렇듯 B형간염의 활동성 여부는 매우 중요한 사항인데, 문제는 신체검사나 증상으로는 비활동성에서 활동성으로 바뀌었는지를 모른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최소 6개월마다 간기능검사, 바이러스활성화검사, 간초음파검사로 활동성으로 바뀌었는지를 관찰해서 항바이러스제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아야 합니다. 특히 나이가 많을수록, 스트레스와 과로에 시달리는 사람일수록 조심해야 하고, 술을 즐기는 남성이나, 당뇨병, 비만인 사람은 간경변증과 간암의 확률이 더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항바이러스제로도 만성 B형간염은 완치되는 게 아닙니다. 다만 당뇨와 고혈압의 치료 목표가 중풍이나 심장질환 등의 합병증이 안 오도록 혈당과 혈압을 잘 조절하듯이, B형간염 역시 그 자체가 치사율이 높은 게 아니고 바이러스 자체를 완전히 제거 할 수도 없으므로, 치료목표 역시 B형간염바이러스 자체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B형간염이 간경변증이나 간암으로 이어지는 것을 막는 것입니다.

간혹 “본인은 B형간염 보유자 이지만 증상이 없는 건강보유자”라고 낙관하는 분들이 있는데 이들 비활동성 간염이 활동성으로 되는 것을 혈액검사가 아니면 알기 어렵습니다. 그러므로 증상이 없다하더라도 최소한 6개월마다 혈액검사나 초음파로 항바이러스제의 투여시기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는 근거가 바로 이런 이유 때문입니다.

B형간염은 기본적으로 혈액을 통해서 전염되는 질환입니다. 그러나 혈액이 타인의 건강한 피부에 묻었다고 전염되는 것이 아니므로 악수와 대화 등으로는 전염되지 않고 일상적인 식사나 술자리로도 전염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그래서 감염자의 식기를 따로 관리하거나 소독할 필요도 없습니다. 다만, 성적인 접촉이나 주사바늘 등으로 전염이 가능하므로 면도기, 손톱깎기는 따로 사용하고, 문신에 쓰이는 침, 귀볼 뚫는 기구 등을 조심해야 합니다.

어떤 질병이든 그 병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적절한 검사 그리고 예방이 중요합니다. 간 역시 아는 만큼 생생해 집니다.

<글 = 태영21내과 양태영 원장(내분비내과 전문의, 의학박사)>

  • 공유하기

    주소 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trl + v 를 눌러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하세요.

    확인
    닫기
양태영 태영21내과의원 전문의
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