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건강Q&A

질문

어지럼증 진단 질병

제가 어지럼증으로 병원을 내원해서 CT, MRI를 찍었었는데요.

의사선생님께서 기질적인 병변은 없다고 밝게 말씀해주셔서 아무 이상이 없다는 소린가..싶은 생각으로 돌아왔는데

진단서에 질병분류번호로 보니까
주상병: G448
부상병: R42
: R558

이렇게 되어있고,

치료에 대한 소견란에
' 단 상기병명은 본과에 한하며, 합병증, 미발견증 발생 시에는 추가 진단서 발급이 가능합니다.'라고 써져있구..

비고란에 '단, 추후 미발견증, 합병증 발견시는 추가 진단서를 발부할수 있음.' 으로 되어있는데요..


1. 주상병, 부상병에 대해서 궁금한점이요..
병명에 대한 해석 부탁드립니다..!! 최대한 상세히요! 찾아봐도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어요..


2. 그리구 하단에 쓰인 내용들은..
병이 뭐가 있기는 한거 같은데 검사 결과에서는 일단 뭐가 발견이 안되서 진단이 미뤄진다는 의미인건가요?


답변

Re : 어지럼증 진단 질병
이지훈
이지훈[전문의] 삼육서울병원
하이닥 스코어: 115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신경과 상담의 이지훈입니다.

#1.
G448 Other specified headache syndrome
R42 Dizziness
R558 Other syncope and collapse
환자분께서 여러가지 증상으로 방문하셨을 때, 진료 후 주된 사항을 주상병, 그 외 동반된 부수적인 사항을 부상병으로 기입합니다. G448 의 경우 두통, R42 의 경우 어지럼증, R558 의 경우 실신이나 현기증이 동반된 경우 기입하는 진단명으로, 특정 질환이 발견되지 않은 상태에서 환자분의 증상 만으로 판단내려지는 상병입니다. 즉, 특별한 기질적인 이상이 발견되지 않더라도 내려지게 되는 가장 일반적인 상병들이 되겠습니다.

#2.
현재 검사 및 진료에서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추후 자세한 검사나 임상적인 상태 변화로 인해 다른 질환이 발견되거나 진단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열어두신 것으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어떠한 진료에서도 단 한번의 진료와 검사만으로 모든 상황을 확정적으로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이후 상황 변화에 따라 추가적인 진단이 가능하고, 그러한 경우 새로운 진단서가 작성될 수 있다라는 점을 부수적으로 기술해 놓으셨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3.
형태나 내용으로 볼 때,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내용의 진단서이기 때문에, 쓰인 용어나 표현에 어색함을 느끼시더라도 오해의 소지는 크게 없다고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답변

Re : 진단 질병
한재병
한재병[전문의] 동래봉생병원
하이닥 스코어: 2402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응급의학과 상담의 한재병입니다.

G 448 은 기타 두통 증후군 이라는 진단코드 인 듯 합니다. 어지러움이나 두통 등의 양상이 확인될때 사용할 수 있는 진단명입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답변

Re : 진단 질병
송슬기
송슬기[전문의] 신세계항의원
하이닥 스코어: 3111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송슬기입니다.

1. 주상병, 부상병에 대해서 궁금한점이요..
병명에 대한 해석 부탁드립니다..!! 최대한 상세히요! 찾아봐도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어요..
2. 그리구 하단에 쓰인 내용들은..
병이 뭐가 있기는 한거 같은데 검사 결과에서는 일단 뭐가 발견이 안되서 진단이 미뤄진다는 의미인건가요?
-> 전산상으로 주상병은 하나 입니다. 나머지는 부상병입니다. 세 가지 모두 해당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하나의 상병만 주상병으로 되과 나머지는 부상병으로 입력된 것 뿐입니다.

두통 증후군으로 진단 해주셨고 거기에 맞게 치료 받으시면 될 듯 합니다. 기질적 원인 없어 다행이십니다.

답변을 참고하시기 전에 1. 온라인 상에서의 답변은 제한적인 정보에 따른 견해로 법적인 책임이 없는 참고 정보로만 고려해주세요.2. 정확한 의학적 검진과 판단은 가까운 병원에 방문하셔서 전문의에게 들으시기 바랍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