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건강Q&A

질문

농양 재발인건가요?

선생님 안녕하세요.
저는 항문주위농양 수술한지 70일정도 되었습니다.
수술 40일쯤되었을때 진료보았고 잘아물었다고 이제안와도 된다고 들었습니다
저는 담당선생님께서 치루와는 무관한? 기전이 좀 다른 농양이라고 하셨었아요. 위치는 회음부와 항문 사이였구요
수술은 농양으로 터질듯 띵띵부어있던 부분 엄청 크게 뻥 뚫리게 상처가 났었고 서서히 살이 다 찼았습니다. 그후 살이 다찬후에는 그부분을 만지면 좀단단하게 상처 흉터같은게 만져졌었습니다.
그리고 쭉 별다른 이슈는 없었는데 며칠전 생리를 시작했는데 수술했던 부위쪽에 최근없던 조금 따끔거리는 느낌이들어 씻고 거울로보니 조금 부어오른 부위가 생겼습니다. 그전엔 그런게 전혀 없었고 색깔도 전체적으로 다 그냥 좀 검은 살색이었는데 지금 좀 부은 부분은 살짝 빨간색이구요. 만지면 좀 불편한 느낌이 듭니다. 아프진않고 크기는 작아요 0.5센치정도에요
처음 농양생겼을땐 거의탁구공만하게 붓고 아팠는데 그래서 그거랑은 좀 다른형태지만, 그 농양수술한 자리에 뭔가 부어오른게 농양 재발인건가 싶고 너무 걱정이됩니다.
재발이라면 또 그부분을 째는 수술을 해야하는건가요? 수술했던자리를 또 째도 되는건가요?ㅜㅜ
그리고 지난번 농양수술시 치루와무관하다고 들었는데 이렇게 같은자리에 염증 혹은 농양이 또 생기면 그게 결국 치루가 되는건가요?
우선 깨끗히씻고 에스로반 발랐고 병원방문은 지금 일이많아 다음주 월요일에나 갈수 있는데 그사이에 더나빠지지않게 혹은 가라앉을수있게 할수있는 방법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그럼 답변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Re : 농양 재발인건가요?
유윤식
유윤식[전문의] 더블유외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267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대장항문 상담의 유윤식입니다.
직접 보지 않고서 말씀 드리기는 조심스런 부분이 있으나, 일단 염증이 생긴 것으로 의심됩니다.
농양의 재발이나 치루 발생 가능성, 혹은 이전 수술 부위 외에 또다른 곳에 염증이 발생되었을 가능성 등 여러가지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염증이라면 가급적 빨리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하루라도 빨리 진료를 받아 보시는 것이 최선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답변

Re : 농양 재발인건가요?
이이호
이이호[전문의] 창원파티마병원
하이닥 스코어: 1871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이이호입니다.

항문주위농양은 항문주위의 피부나 점막에 생기는 염증으로, 염증이 심해지면 농양이 생기게 됩니다. 항문주위농양은 항문암이나 치루와는 무관한 질환입니다. 항문주위농양은 항문주위의 피부나 점막에 생기는 염증으로, 염증이 심해지면 농양이 생기게 됩니다. 항문주위농양은 항문암이나 치루와는 무관한 질환입니다.

항문주위농양의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항문 주위의 통증
- 항문 주위의 붓기
- 항문 주위의 열감
- 항문 주위의 붉은 반점
- 항문 주위의 고름

항문주위농양은 항상 치료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농양이 크거나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치료가 필요합니다. 항문주위농양의 치료는 항생제나 수술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항문주위농양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실천하는 것이 좋습니다.

- 항문 주위를 청결하게 유지합니다.
- 항문 주위를 자극하는 물질을 피합니다.
- 과식이나 음주를 피합니다.
- 면역력을 강화합니다.

항문주위농양은 흔한 질환이지만,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완치가 가능합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한 답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술한 부위가 부어오른 것은 농양 재발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 농양 재발이라면 수술을 통해 치료해야 합니다.
- 치루와는 무관한 질환이지만, 같은 부위에 염증이 생기면 치루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 깨끗이 씻고 에스로반을 바른 것은 좋습니다.
- 더 나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항생제를 복용하고, 찜질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더 나빠지거나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에는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