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건강Q&A

질문

당뇨 질의 입니다

당료 질의 입니다
발병일 : 2017.8.30.
혈당 : 282
나이 : 만35세

병원 진료 시 소변에서 당이 많이 나온다고 해서 당료검사 진행
검사결과 2형 당료 판정(최장기능이 기준보다 저하되어 있다고 합니다)
인슐린 처방을 권고 하였으나, 약처방을 요구
현재까지 약처방 받고 당료를 치료 중에 있습니다

투약명(현재 투약중이 약 명칭)
제미글정50밀리그램
피타바로틴정2밀리그램
씨엄지모사프리드정
마그밀정(수산화마그네슘)

현재 몸상태
혈압 : 87/120
혈당 : 공복8시간 이 후 102
투약 후 식사 2시간 이후 98
운동 : 일 달리기 30분
주1회 자전거 3시간

질의
1. 당료 완치는 가능한건가요
2. 혈당 정상기준은 어떻게 되는가요
3. 키:182 몸무계:89kg 체중 얼마까지 유지 해야 하나요
4. 취장기능이 정상치보다 약간 떨어 졌다고 의사 선생님 말씀
하시는데 취장은 다시 건강해지는가요
5. 당료약 복용은 평새 해야 하는건가요
6. 오매가3, 유산균, 코큐탠, 엽산 복용 중인데 당료에 도움을
주는가요
7. 직장 생활 때문에 술을 마셔야 하는 상황인데 현재 월 2회
정도 음주 하고 있습니다, 이정도는 괜찮을까요


답변

Re : 당료 질의 입니다발병일 : 2017.8.30.혈당 ...
현일식
현일식[전문의] 시원누리내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895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소화기내과 상담의 현일식 입니다.

1. 당뇨약을 끊을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완치는 없습니다. 방심하면 언제든 다시 생깁니다. 평생 관리하셔야 합니다. 당뇨병을 관리하면 고혈압, 고지혈증, 지방간 등도 관리가 되고 뇌경색, 협심증등도 예방이 되며 암도 적게 생깁니다. 일석이조가 아니라 일석수십, 수백조입니다. 단, 주의해야 할 것은 각종 방송, 신문, 잡지 등에서 무분별하게 노출되는 당뇨완치 선전은 새빨간 거짓말이므로 현혹되지 마시기 바랍니다.

2. 혈당은 8시간 공복 후 99이하가 정상입니다. 그러나 당뇨 환자에게 있어 혈당 조절 목표는 정상치로 떨어 뜨리는 것이 아닙니다. 일반적으로는 공복혈당 120 이하가 목표입니다. 그러나 환자의 상태에 따라 혈당 조절의 목표치는 다를 수 있으므로 담당의사와 상의하셔야 합니다.

3. 체질량 지수 23미만이 정상이므로 75Kg까지 줄이시면 이상체중입니다. 그러나 체중이 82Kg이라고 하더라도 근육이 많고 체지방율이 낮으면 괜찮습니다. 그러나 체중이 75kg까지 줄었음에도 불구하고 근육은 별로 없고 체지방율이 높은 마른 비만이라면 체중은 줄이나 마나입니다. 따라서 체중을 얼마까지 줄일지는 정해진 것이 없습니다. 자신의 몸 상태와 생활 양식, 몸 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4. 췌장기능이 떨어졌다는 설명은 여러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담당의사 선생님께서 정확히 어떤 의미로 말씀하신 것인지 알 수 없지만 아직 젊은 나이이기 때문에 열심히 관리하면 대부분 좋아집니다.

5. 사람에 따라 다릅니다. 끊는 사람도 있고 평생 먹는 사람도 있습니다. 평생 먹는다고 해서 속상해 하실 필요 없습니다. 당뇨병을 조절하는 가장 큰 이유가 혈관이 막히는 뇌경색(전신 및 반신마비, 사망), 심근경색(심부전, 사망) 신부전(투석, 신장이식), 당뇨발(절단) 등을 예방하는 것입니다. 약을 먹어서 이런 무서운 당뇨합병증들이 예방된다면 이보다 좋은 영양제가 어디 있겠습니까? 효과도 불분명한 영양제를 비싼 돈 주고 사먹기도 하지 않습니까? 당뇨약이나 혈압약, 고지혈증 약 만큼 싸고, 효과 확실하고, 부작용 적은 영양제도 없습니다.

6. 확실히 도움이 된다고 알려진 연구자료가 없습니다. 도움이 된다는 말은 제품을 제조하는 회사, 판매하는 사람 들에게서 나온 말입니다. 과학적으로 확실히 증명된 바는 없습니다.

7. 월 2회를 넘지 않게 조절할 자신이 있다면 그 정도 횟수는 괜찮습니다. 그러나 어려운 문제이지요. 개인적인 술자리는 만들지도 참가하지도 않겠다는 각오가 필요합니다.

응원하겠습니다. 힘내세요.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답변

Re : 당료 질의 입니다발병일 : 2017.8.30.혈당 ...
박은경
박은경[운동전문가] (주)메디플러스솔루션
하이닥 스코어: 62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운동상담사 박은경 입니다.

현재 질의하신 내용은 아래에 내과 전문의께서 답변을 참고하시고, 한 가지 운동관리 측면에서 드리고 싶은 말씀이 있습니다. 지금 수행하고 있는 달리기와 자전거는 유산소 운동의 형태로 혈중에 남아있는 혈당을 분해하고 쓰는 데에는 효과가 있지만 이러한 에너지를 저장하는 저장 창고인 근육을 키우는 운동을 실시하고 있지 않으십니다. 따라서, 드신 음식물이 분해되어 근육에 잘 저장이 되어야 에너지가 필요할 때 다시 근육내 저장된 에너지원을 가지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근력운동을 추가적으로 매일 실시해 주시기를 적극 권장합니다.

근력운동 - 주 3일 이상
1. 반만 윗몸일으키기 20회 3세트
2. 반만 대각선으로 윗몸 일으키기 20회 2세트
3. 업드려서 오른손/왼발 교차들기 15초 3세트
4. 팔굽혀펴기 - 10회 3세트
5. 벽에 기대서 기마자세 ; 투명 의자(무릎의 각도가 90도를 넘지 않게 한다) 15초 3세트
6. 벽에 양손을 대고 양발로 까치발 들기 20회 3세트
7. 벽에 등을 기대서 앞꿈치들기 20회 3세트

점차 횟수와 세트수를 증가시키고 아령이나 모래주머니 또는 밴드 등을 이용하여 강도를 높여주시기 바랍니다. 제 답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답변

Re : 당료 질의 입니다발병일 : 2017.8.30.혈당 ...
박예리
박예리[영양사] -(프리랜서로 근무중)
하이닥 스코어: 11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영양상담사 박예리 입니다.

당뇨병은 당뇨병성 신경병증 또는 당뇨병성 신증, 망막병증, 혈관계 질환 등의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식단 관리가 필수적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뇨병의 식사는 정상 혈당을 유지하고 표중 체중유지와 정상혈압, 정상 혈청 지질 수준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두고 특정 당뇨보조식품에 의존하기 보다는 일상 식이내에서 조절을 권장합니다.

먼저 혈당지수(glycemic index; GI)는 순수 포도당을 100이라고 하였을 때 섭취한 식품의 혈당 상승 정도와 인슐린 반응을 유도하는 정도를 비교하여 수치로 표현한 지수로 높은 혈당지수의 식품은 낮은 혈당지수의 식품보다 혈당을 빨리 상승 시킵니다. 대표적인 고혈당지수 식품(70이상)은 감자, 떡, 백미, 수박, 호박 등이 있고 저 혈당지수 식품(55이하)은 고구마, 오트밀, 우유, 사과, 채소 등이 해당합니다.

또한 당뇨환자의 식사시 고려할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튀김이나 단 음식, 가공식품은 일반적으로 혈당지수가 높으므로 제한하고 가급적 자연 식품을 섭취한다.

2. 같은 식품이라도 날것으로 먹는 것이 좋으며 조리하거나 으깬 것은 혈당 지수가 높아진다.

3. 생과일주스보다는 생과일을 먹는다.

4. 설탕보다는 과일의 당분을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해조류는 혈당지수와 열량이 매우 낮아 체중감량이 필요한 경우 도움이 된다.

6. 혈당지수가 높은 식품은 되도록 제한하는 것이 좋지만 먹게 된다면 식후 바로 먹기 보다는 3~4시간 정도 지난 후 혈당치가 떨어진 후에 따로 먹는 것이 적당하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