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건강Q&A

질문

곤지름일까봐 너무 무서워요....하아

백퍼 곤지름일까요? 무섭고 미칠거같아요

근데 제가 전에 운동을 끼는거입고 꽤 오래했는데 그래서 그럴일은 없죠..?

참고로 std와 hpv는 다 정상나와서 더 미치겠어요


답변

Re : 곤지름일까봐 너무 무서워요....하아
조병구
조병구[전문의] 에비뉴여성의원
하이닥 스코어: 47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산부인과 상담의 조병구입니다.

사진을 올려주셨군요.

사진이 흐리고 작아서 정확하게 진단은 어렵지만, 전형적인 곤지름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다만 최근에 생겼고 자꾸 커지면서 주변으로 퍼지는 양상이라면 곤지름이라고 의심할 수 있습니다.

곤지름은 피부질환이고 흔치않은 질환이라서 주변에서 제대로 진료하는 병원을 찾기 쉽지 않습니다.


우선 이것이 곤지름(콘딜로마)이 맞는지 병의원에서 정확히 진찰을 받아보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치료에 관해서는 곤지름(콘딜로마)이 맞는지 확인한 후에 결정하시면 되는데요.

곤지름(콘딜로마)은 육안으로 90% 이상 진단이 가능하지만,
10%에서는 다른 질환과 구분이 되지 않아 조직검사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곤지름(콘딜로마) 진단 시 트리클로로아세트산(Trichloro acetic acid)이라는 진단 시약을 사용하는데요.
흔히 일반 클리닉에서 사용하는 아세트산(빙초산, acetic acid)이라고 하는 시약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특히 진단 시약에 적합하지 않는 아세트산을 사용하는 경우 부적절한 반응으로 검사를 망치는 경우가 많습니다.

어째든 시약 반응 검사에서 하얗게 되는 경우를 양성이라고 하는데,
이는 곤지름(콘딜로마) 초기 때만 나타나는 징후라서, 극초기 혹은 3개월 이상 오래된 병변에서는 반응을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실제 이 시약검사를 하더라도 육안적 진단을 하는 의사의 진료 경험이 부족하면 잘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정말 경험이 많은 진료의사는 시약반응 검사만으로도 곤지름을 진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곤지름(콘딜로마)가 생기는 부분은 여성의 외음부, 질 속, 자궁경부, 항문 주변, 항문안쪽, 요도 안쪽 등 회음부 전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실제 곤지름(콘딜로마)로 오신 여성 환자분들의 50% 이상은 질 속 혹은 요도 안쪽, 항문 안쪽에 곤지름이 발견되고 있습니다.

질 속과 외음부는 산부인과에서 항문 속은 항문외과, 요도 안쪽은 비뇨기과에서
주로 진료를 보는 이유에서 각각 진료과에서 따로 진단을 하고 치료하는 경향이 있는데요.

어디서든 제대로 잘 치료 받으시기 바랍니다.

빨리 완치되시길 바랍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답변

Re : 곤지름일까봐 너무 무서워요....하아
홍인표
홍인표[전문의] 닥터홍가정의학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3747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가정의학과 상담의 홍인표입니다.
지금 보기에는 질전정 유두종인지 곤지름인지 명확하게 구분은 가지 않으니 진료를 직접 받아보시는 것을 권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답변

Re : 곤지름일까봐 너무 무서워요....하아
김경남
김경남[전문의] 가톨릭대학교 성빈센트병원
하이닥 스코어: 300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질전정유두종은
곤지름과 달리 한 줄로 대칭적으로 자라게 되며,
소음순과 질 입구인 전정에 대칭적으로 분포됩니다.

그리고 만졌을 때 까끌하지 않고 부드럽다면 곤지름이 아닌 질전정유두종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건승하세요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답변

Re : 곤지름일까봐 너무 무서워요....하아
김창래
김창래[전문의] 고유가정의학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385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내과 상담의 김창래입니다.
곤지름이나 헤르페스와 같은 성병의 특징적인 사마귀 모양이나 수포성 피부 병변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