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건강Q&A

질문

척추수술후에도 계속되는 발저림과 백약무효?

안녕하세요.

저희 아버지는 평생 농사일만 하시다가 허리가 좋지않아 2016년 초에 척추유합술을 받으셨습니다.
MRI촬영결과 척추뼈 4,5번이 신경통로를 눌러 수술이외에는 방법이 없다고 하셨습니다(2015년 봄 척추전문병원에서 MRI촬영후 의사선생님 말씀입니다.).

부친의 발저림 증상이 처음시작되는 것은 2013년 1월이고 그후 동네의원 물리치료나 통증의학과치료,한의원 침치료를 받으면 발저림은 없어졌지만 2014년이 다가오니 이런 치료가 아무 효과가 없었고 대신 마약진통제를 복용하니까 발저림이 호전되었지요.

하지만 마약진통제 약효가 떨어지면 발저림은 다시 찾아왔고 농사일때문에 비수술이라도 해보자고 설득시켜 꼬리뼈내시경을 받게했지만(2014년 11월) 전혀 효과가 없었고 2015년 봄 척추전문병원에서 MRI를 찍었는데 척추뼈 4.5번이 신경을 심하게 눌러 수술이외에는 방법이 없다고 하셨어요.(이 척추전문병원의 소견만이 아니라 다른 곳에서도 수술해야한다고 하셨지요.)

그렇게 해서 2016년초에 핀을 4개 박는 척추유합술을 받았고 발저림이 호전될줄 알았는데 수술전이나 수술후 2년이 지난 지금이나 발저림은 똑같습니다.

수술하면 마약진통제는 효과가 있겠지 싶어 마약진통제를 복용해도 발저림은 전혀 효과가 없습니다.

자식된 저로서는 힘만 빠지고 조금이라도 뭐라고 드시고 아버지께서 발저림이 좀 덜하더라 라는 소리가 나온다면 저는 더 이상 바랄게 없겠습니다.

현재 척추전문병원에서 마약진통제(타진00) 말초신경치료제 ,일반진통제, 이렇게 약을 1달에 한번씩 타 드시는데 전혀 효과가 없습니다. 부친은 혹시 당뇨가 있어서 발저림이 있는게 아닌가 싶어 당뇨검사도 종합병원에서 정밀검사를 했는데 정상이라고 통보받았습니다.

척추수술한 병원에서는 수술을 늦게해서 그렇다고 하시고 약은 드셔도 전혀 효과가 없으니 힘만 빠지지요.

질문드립니다.
질문1.
척추수술후 마약진통제를 복용해도 발저림에 손톱만큼도 효과가 없는 이유가 뭔가요?

질문2.
재수술하기에는 부친이 연세가 많으시고(83세) 비수술을 권하기엔 2014년 11월에 비수술경험이 있어서 거부를 하십니다.
담당의사선생님께 타진00말고 옥시콘0을 처방을 요청하니 아예 거부를 하십니다.
약으로도 발저림이 호전되지않는다면 어떻게 했으면 좋을까요?

답변부탁드립니다.


답변

Re : 척추수술후에도 계속되는 발저림과 백약무효?
조태구
조태구[전문의] 어울림의원
하이닥 스코어: 41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1명
질문자의 감사 인사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신경외과 상담의 조태구 입니다.

신경 압박이 오래 지속되면서 장기간 신경 손상이 진행되면
통증이외에 감각 저하나 저린감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일반적으로 척추 수술 후에는 통증과 더불어 저린감도 호전되는데
수술 전 증상 지속 기간이 길었던 경우
이미 신경 손상이 오래동안 지속되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수술 후에도 저린감이 오래 동안 남게 됩니다.

신경 조직은 피부나 기타 다른 조직 처럼 쉽게 아물거나 회복되는 조직이 아니기 때문에
수술 시기가 늦어 증상 지속 기간이 길었던 경우 잔존통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신경 차단술 등의 주사 치료와 진통 소염제 등을 통해 증상을 경감 시키고
지속적으로 온욕이나 마사지 등을 통해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해주는 것 이외에는
특별한 치료 방법이 없습니다.

현재 아마도 이러한 치료들은 지속하고 계신 것으로 판단됩니다.

현재 상황에서는 MRI 등을 통해 수술 부위 및 인접 부위에 특별한 문제가 없다는 것을 확인한 후
현재 치료를 지속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