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질환·치료

국내 연구진이 대장암을 촉진하는 단백질을 세계 최초로 발견, 해당 단백질의 기능을 억제하여 대장암을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을 개발했다.

부산대 분자생물학과 민도식 교수와 울산대 의대 강동우 교수, 연세대 최강열 교수 연구팀은 대장암의 세포증식 신호전달체계를 촉진하는 단백질을 발견하고, 그 기능을 억제하는 약물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이 약물을 대장암이 유발된 쥐에 투여한 결과, 종양형성이 1/4이하로 감소되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대장암 대부분은 APC라는 암억제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생기면서 세포증식을 일으키는 윈트 신호전달이 활성화돼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연구팀은 암을 발생하게 하는 ‘윈트 신호전달’을 활성화시키는 핵심 단백질 포스포리파제D1(PLD1)을 최초로 발견하고, PLD1이 생성되지 않게 유전자를 조작한 쥐와 대장암을 발생하게 한 쥐를 교배했을 때, 대장암 발병률이 1/10 이하로 억제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대장대장

또한, PLD1 기능을 억제하는 약물(VU0155069)을 대장암을 발생시킨 쥐에게 투여했을 때 대장암 치료율이 4배 이상 증가한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PLD1의 기능을 억제시켰을 때 대장암 줄기세포의 특성을 나타내는 단백질의 발현과 자가재생 능력이 감소되고, 종양생성 능력이 200배 이상 줄어든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연구팀은 이들이 발견한 핵심 단백질 기능을 억제시키는 약물을 만들면 항암제 내성과 대장암 재발을 막는 새로운 개념의 암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으며, 임상실험 등을 거쳐 정식 상용화 하기까지는 5~6년 정도 걸릴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연구재단이 지원하는 중견연구자지원사업과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을 통해 수행됐으며, 이번 연구 결과물은 국제학술지인 미국실험의학회지(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지 온라인(early view)판 6월 29일자에 게재됐다.

  • 공유하기

    주소 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trl + v 를 눌러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하세요.

    확인
    닫기
김선희 하이닥 건강의학기자
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