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헬시라이프

반려견을 키우는 반려인이라면 에디슨병(Addison's disease)이라는 질환명이 낯설지 않을 터. 에디슨병은 개에게 발생하는 호르몬 질환 중 하나로 '부신피질기능저하증'이라고도 불린다. 말 그대로 부신의 기능이 떨어져 충분한 양의 호르몬이 분비되지 않는 질환으로, 부신피질기능항진증(쿠싱증후군)과는 반대 개념이다.


반려견에게서 에디슨병 의심 증상이 관찰되면 즉시 동물병원을 내원하는 것이 좋다ㅣ출처: 게티이미지뱅크반려견에게서 에디슨병 의심 증상이 관찰되면 즉시 동물병원을 내원하는 것이 좋다ㅣ출처: 게티이미지뱅크

수컷보다는 암컷에서 자주 발병
부신은 양측 신장 위에 자리잡고 있는 호르몬 생성기관으로, '코르티솔(Cortisol)'과 '알도스테론(Aldosterone)'이라는 호르몬을 분비한다.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은 간, 심혈관 등 여러 신체기관의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코르티솔이 적절히 분비되지 못하면, 신체기능이 저하되고 면역력이 감소해 다양한 질환에 노출된다. 알도스테론은 체내에서 수분과 전해질의 항상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알도스테론이 부족하면 체내 나트륨이 감소하고 칼륨 수치가 상승해, 탈수상태가 되거나 심박이 크게 떨어진다.

에디슨병은 외상이나 병원체 감염에 의해 부신이 손상되어 나타날 수 있으며, 대개 부신피질의 면역매개성 파괴로 인해 발생한다. 간혹, 에디슨병과는 달리 코르티솔과 알도스테론이 과다하게 분비되는 질환인 쿠싱증후군(Cushing's syndrome)을 치료하는 과정에서 약물로 인해 부신기능이 지나치게 떨어지면서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속발성 에디슨병의 경우 뇌하수체에서 부신피질 호르몬이 결핍되어 발생하는데, 일반적인 에디슨병 보다 드물게 나타난다.

평균 발병 연령은 약 4세이지만, 태어난지 얼마 안 된 강아지부터 노령견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개에서 나타난다. 수컷보다는 암컷에게서 자주 발생하는 특징이 있으며 비어디드 콜리, 스탠다드 푸들, 래브라도 리트리버 등 중대형견이 특히 이 질환에 취약하다.


치료 시기 놓치면 반려견 생명 위험해질 수도
에디슨병에 걸리면 심혈관계나 대사계, 면역계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해 초기에는 △기력 저하 △식욕 감소 △설사 및 혈변 △구토 △체중 감소 △소변량 증가 △통증 △근육 경련 등의 증상을 보인다. 그러나, 증상이 애매하거나 전혀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증상을 보여 동물병원을 내원해도 비슷한 증상을 보이는 질환이 워낙 많아 일반적인 신부전증 등으로 오인돼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문제는 치료시기를 놓치면, 질환이 진행되면서 심장기능에 문제가 생기거나, 갑작스러운 쇼크가 오는 등 반려견의 생명이 위험해진다는 점이다. 더불어 에디슨병은 아직까지 특별한 예방법이 없기 때문에, 반려견이 이유없이 쇠약해지거나 구토 등 의심증상을 조금이라도 보인다면 즉시 가까운 동물병원을 방문해 검사를 받아야 한다.

에디슨병은 △반려견의 병력 △눈에 보이는 임상증상 △전해질을 포함한 혈액검사 △소변검사 △뇌하수체 문제 확인을 위한 영상검사 등으로 잠정 진단하며, ACTH 자극시험을 통해 확정 진단한다. ACTH 자극시험은 ACTH 합성 호르몬을 반려견에게 주사해 주사 전과 후의 혈중 코르티솔 농도를 측정해 이루어진다.

치료는 증상과 반려견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질환이 어느 정도 진행되어 반려견이 위독한 상태로 병원에 왔다면, 저혈량과 쇼크 등 긴급한 증상 개선에 중점을 둔다. 이후 부족한 호르몬을 보충해주기 위한 스테로이드제를 투여하며, 증상을 지속적으로 관찰한다. 반려견의 상태나 체중 증감에 따라 필요한 약물의 용량을 계속 변경해야 하며, 주기적인 검사를 통해 약물 용량을 조절해야 부작용 없이 반려견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 에디슨병도 쿠싱증후군과 같이 평생 정기적인 검사와 약물치료로 호르몬 밸런스를 유지해야 다른 합병증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반려견 건강 관리에 더욱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 공유하기

    주소 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trl + v 를 눌러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하세요.

    확인
    닫기
성진규 하이닥 건강의학기자 | hidoceditor@mcircle.biz
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