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질환·치료

우리 몸에 주로 ‘결석(돌)’이 생기는 부분은 쓸개와 담도 그리고 콩팥, 요관, 방광이다. 이 질환의 대부분은 증상이 없어서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가 많지만, 결석이 담도나 요관을 막으면 극심한 통증을 동반하여 응급실을 찾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결석이 고환에도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을 아는 이는 극히 드물다. 이 역시 대부분 증상이 없어 고환염이나 부고환염 등 다른 문제로 시행한 초음파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많다.

고환에도 결석이?고환에도 결석이?

고환미세결석은 2~3% 정도에서 발견되는 흔한 질환이고, 클라인펠터증후군이나 다운증후군에서는 36%까지 높게 나타난다. 진단은 초음파 검사를 통해서 하게 되는데, 고환에 3mm 이하 크기의 미세결석이 5개 이상 관찰될 때 고환미세결석으로 진단을 내린다. 하지만 아직 고환미세결석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다만 정자를 만들어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세정관이 막혀서 칼슘이 침착되어 생기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 그로 인해 정자의 숫자나 운동성이 떨어져 난임이 생기거나 암으로 진행될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는 치료가 필요 없기 때문에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2018년도 유럽비뇨기과학회에서 발표한 지침을 보면 아래의 경우는 고환암이 생길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55세부터 매년 초음파 검사, 그리고 매달 자가 검진하는 것이 좋다.

1. 예전에 고환암을 진단받은 경우

2. 고환이 음낭으로 내려오지 못하는 잠복고환인 경우

3. 잠복고환을 진단받고 고환 고정술을 받은 경우

4. 고환의 크기가 정상보다 작아진 경우 (반대편보다 20% 이상 작은 경우)

5. 아버지나 형제 중에 고환암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6. 정자 수나 운동성이 떨어져 있는 경우

글 = 하이닥 의학기자 변상권 원장 (비뇨의학과 전문의)

  • 공유하기

    주소 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trl + v 를 눌러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하세요.

    확인
    닫기
변상권 연세에스비뇨의학과의원 전문의
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