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도 많은 분이 다낭성 난소증후군을 비만한 여성에게만 나타나는 병으로 인식하는 것 같습니다. 실제로 다낭성 난소증후군의 치료를 위해 한의원에 내원하는 분들을 보면 정상범위의 체중보다 미달이거나 정상 체중인 경우도 많습니다. 또한 정상범위의 체중 이하의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다낭성 난소증후군의 비율은 점점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다낭성 난소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은 불명입니다. 유전적·환경적 요인이 뒤섞여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고 이름에서 나타나듯 난소의 병변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최근에는 시상하부와 뇌하수체에서 난소로 이어지는 생식의 축에서 문제를 일으키거나, 인슐린 저항성이 심해짐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는 이론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고민하는 여성임상에서 저는 다낭성 난소증후군을 진단받고 내원하는 분들께 또 다른 호르몬 문제는 없는지 확인하고 있는데요. 특히 갑상선호르몬이나 프로락틴의 호르몬 이상과 결합하여 무배란, 무월경을 동반하는 여성들이 많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호르몬 문제는 한 가지만 별도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한 가지 호르몬의 불균형이 발생하면 다른 이상 또한 다발적으로 나타나기 쉽습니다. ‘호르몬 이상’이라는 말이 어렵고 낯설게 느껴지는 분들이 많겠지만, 호르몬 이상이 나타나는 원인을 파악하다 보면 스트레스가 중요한 요인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신피질에서 분비하는 코르티솔이라는 호르몬은 ‘스트레스 호르몬’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극심한 스트레스에 분비가 촉진됩니다. 코르티솔의 분비가 가속화되면서 내분비 기능에 전반적으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에 다낭성 난소증후군과 같은 배란장애가 나타날 수도 있는 것이고요, 단순화된 과거 사회와는 달리 복잡하고 가정과 사회에서 슈퍼우먼이 되어야 하는 현대 여성들은 이렇게 복잡하고 누적된 스트레스와 환경문제로 인해 다낭성 난소증후군이 나타나기 쉽습니다.
따라서 마르거나 평균 체형이면서 다낭성 난소 증후군을 가진 여성들에게 비만 여성들에게 하듯 무작정 체지방감량을 권유해서는 안 됩니다. 오히려 생리불순이 심화되고 무배란 기간이 길어지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습니다. 저체중의 다낭성 난소증후군 여성은 수족과 하복부 및 하체가 냉하고 생식세포가 원활하게 형성되지 않는 정혈부족(精血不足)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아 난소복원치료에 힘써야 합니다. 또한 현재 저체중이라고 해도 과거에 과체중이었을 때에 건강을 돌보지 않고 급격하게 단식을 하거나 무분별한 약물을 사용해서 다이어트를 했다면 오히려 체중이 빠지고 난 후에 다낭성 난소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다이어트 후 건강관리를 제대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로, 일반적으로 ‘보약’으로 알려진 한약을 통해서 다낭성 난소 증후군을 치료했다는 연구발표가 있었습니다. 2014년에 미국 과학저널인 플로스원(Plos One)에 게재된 자료에 따르면, 경희대 한의과 연구팀은 한 동물실험에서 약물로 다낭성 난소증후군을 유도하기 전 20일간 경옥고라는 한약 제재를 투여하여 다낭성 난소증후군의 발현도를 살펴보았습니다. 실험 결과 경옥고의 투여는 다낭성 난소로 전이된 쥐의 난소 무게, 난포의 수, 혈중 글루코오즈와 에스트라디올 양을 감소시켰으며 난소에서 면역세포 침윤과 염증 매개인자 발현을 줄이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또한 다낭성 난소증후군을 유발시키는 약물로 인해 감소했던 난소 내 성장인자 발현을 증가시키고 억지로 중단시켰던 생리주기를 부분적으로 회복시키는 등의 효과도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한방치료는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접목시켜 질환을 치료할 수 있기 때문에 다낭성 난소증후군으로 내원하는 여성들의 몸 상태를 세밀하게 파악하고 개개인에 맞추어 처방하는 한방 치료는 매우 효용성이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건강한 몸과 면역력 강화, 그리고 균형적인 호르몬 분비는 제각각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다낭성 난소 증후군을 낫게 하고자 영양 고려 없이 무작정 굶거나 무리한 운동으로 다이어트를 하는 분들이 많은데요. 아직도 살 빼는 것만이 다낭성 난소증후군의 치료라고 생각하나요? 다낭성 난소증후군의 치료는 생식의 축 전체를 교정하고 본연의 정상적인 기능을 회복하는 것입니다.
글 = 하이닥 의학기자 오유리 원장 (한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