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헬시라이프

대장의 마지막 부분 직장에 발생하는 직장암이 초기로 진단되면 광범위 절제술 외에도 직장을 최대한 보존하며 암만 절제하는 국소 절제술도 고려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암 수술은 광범위 절제가 원칙이지만, 조기암과 같은 특수한 경우 국소 절제술로 완치에 이를 수 있다. 특히 직장은 비뇨생식기 및 배변 관련 구조물에 둘러싸여 있고, 직장 자체의 신체적 기능 때문에 제거 시 하루에 수십 번 대변이 마렵고 잔변감이 느껴지는 등 삶의 질이 현격히 떨어진다.

대장대장

서울성모병원 암병원 대장암센터 이인규, 여의도성모병원 외과 박선민 교수 연구팀이 2004~2014년 서울성모병원, 여의도성모병원, 성빈센트병원에서 수술 후 병리적 소견상 침습 깊이가 1(T1 stage)인 직장암 환자 152명을 분석한 결과, 18.4%(28명)는 국소절제술을, 81.6%(124명)는 광범위 절제술을 받았다.

직장암 국소절제술은 T1 병기, 4cm 미만의 작은 암과 림프절, 정맥, 신경 침범이 없을 시 권고된다. 연구팀은 광범위 절제술을 받은 124명 중 임상적으로 국소절제술 치료가 가능해 보이는 T2 이하거나 림프절 전이가 없는 환자 93명을 조사했다. 수술 후 병리학적 검사 결과 46.2%(43명)는 국소적인 치료를 통해서도 완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장의 마지막 부분인 직장은 약 15㎝로 상부, 중부, 하부 직장으로 나뉘며 항문에서 끝난다. 대장은 크게 결장과 직장으로 구분하는데, 암이 발생하는 위치에 따라 결장에 생기는 암을 결장암, 직장에 생기는 암을 직장암이라고 하며 이를 통칭하여 대장암 또는 결장 직장암이라고 한다. 직장암은 종양의 크기가 아니라 종양의 조직 침투 정도에 따라 치료 방법을 결정하며 수술, 항암 화학 요법, 방사선 치료를 병행한다.

직장암의 병기는 의사의 임상 진찰, 조직검사, 영상검사 등의 결과를 기초로 하여 판단하는 ‘임상 병기’와 수술 후 확인한 병리학적 병기인 ‘수술 병기’로 나뉜다. 임상 병기와 수술 병기는 다를 수 있으며 수술 전후 직장암 병기의 일치율은 종양 병기가 59~95%, 결절 전이가 39~95%로 차이가 있을 수 있다.

국소절제술이 가능한 환자는 절제 전 검사와 영상검사에서 국소 림프절 전이 및 원격 전이가 없고, 신체검사와 대장내시경 검사에서 암의 크기가 3cm 미만인 경우이다. 또한 직장 내 총 둘레의 30%를 넘지 않는 종양이 항문 입구에서 8cm 미만에 위치하고, 조직 분화도(정상 조직과 비교한 세포의 분화 정도)가 좋으며, 림프관 및 정맥혈관 침범이 없는 환자이다.

반면 ▲절제연(수술로 잘라내는 범위)과 암세포 사이의 거리가 1mm 이하를 포함한 절제연 침범 ▲점막하층으로의 침범이 깊거나 정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 ▲저분화, 미분화암인 경우 ▲림프관 및 정맥혈관 침범 등의 소견을 보이는 경우 등은 림프절 절제를 포함한 광범위 절제술이 필요하다.

광범위 절제술은 종양으로부터 원위부(종양의 아래쪽) 및 근위부(종양 위쪽)에 걸쳐 충분한 거리를 두고 장을 절제하고, 이와 함께 림프 경로를 광범위하게 절제한다. 최근에는 절제한 부분을 제거하고 남은 부분을 개복 복강경 로봇수술로 이어주는 방식이 많이 사용된다.

서울성모병원 암병원 대장암센터 이인규 교수는 “조기암이 의심되는 경우 국소적 치료를 통해 정확한 병기를 확인한 후, 광범위 절제술 여부를 고려해야 한다”며 "다양한 진단방법으로 병기를 정확하게 설정하고, 다학제 치료와 수술 방법을 환자와 충분히 상의하여 결정하는 것이 전제"라고 강조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대장암학회지에 게재됐다.

  • 공유하기

    주소 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trl + v 를 눌러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하세요.

    확인
    닫기
박혜선 하이닥 건강의학기자 | hidoceditor@mcircle.biz
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