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질환·치료

출산은 매우 힘든 과정이면서, 여성의 신체에 엄청난 변화를 초래한다. 출산 후에는 극도로 허해진 상태이기 때문에, 찬 기운이 몸에 들기에 십상이다. 특히 요즘 같이 추운 날씨에는 더욱 그렇다. 이러한 산후풍은 벽에 조그마한 구멍을 타고 바람이 드나들듯, 산후 기혈이 많이 허약해져 있다면 한 번의 찬바람에도 생길 수 있다. 그러나 튼튼한 산모에게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 출산 후에는 몸조리해야 할 시기에 육아를 병행해야 하기 때문에 육체적·정신적 과로로 산후풍이 생기기도 한다. 하지만 초산의 경우 몸조리를 제대로 하지 못할 경우 둘째를 낳을 수 없는 경우도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산후 관절이 아프거나 몸에 찬 기운이 도는 증세를 ‘산후풍’이라고 한다. 말 그대로 바람이 드는 것인데, 몸에 찬 기운이 들어와 어혈이 정체되어 경맥을 막아 관절과 근육 통증, 감각 이상을 일으키게 된다.

아기를 안고 있는 여성아기를 안고 있는 여성

주요 증상으로는 △손목이나 무릎 등의 관절에 통증이 있다 △오한이 나고 땀이 많이 난다 △관절에 찬 바람이 드는 느낌이 있다 △찬바람을 맞으면 피부가 붓는다 △비가 오거나 습도가 높으면 허리나 관절이 쑤신다 △피로가 심하고 빈혈과 두통, 메스꺼움 등이 있다 △팔다리가 저리다 △식욕부진, 불안과 우울증이 나타난다 등이 있다.

이처럼 산후풍은 하나의 질환이라기보다, 여러 다양한 증상들이 동반되는 것을 총칭해 이르는 말이다. 일반적으로는 머리가 무겁고 쉽게 피로를 느끼며, 매사에 싫증이 나면서 몸이 노곤하고 권태를 느끼게 된다. 머리와 팔다리, 허리 등 모든 관절 부위가 저리고 아프며, 현기증이 잘 생기고 신체가 전반적으로 나른하며 쑤신다.

산후풍 예방을 위해선 그 원인처럼 산모에게 허약한 틈이 생기지 않도록 기운을 보충해 주는 것이 가장 좋다. 요즘 산후조리원을 많이 이용하는 것처럼, 산후에는 다소 과하다 싶을 정도로 관리해 줘야 한다. 바람이 쉽게 들어오지 못하도록 조심해야 하고, 땀이 나고 피부의 모공이 열린 상태이므로 급격한 체온 변화가 생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산후풍은 출산 직후에도 나타나지만, 출산하고 한참 뒤에 생기기도 한다. 평소 허약했던 사람은 그 증상이 빨리 나타나 조심하지만, 체력이 좋은 산모들의 경우 젊고 건강할 때는 잘 모르다가 나이가 들고 체력이 약해졌을 때 증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그러므로 절대 방심해선 안 된다.

생활 면에서는 샴푸나 샤워를 하는 것은 괜찮지만, 욕실에서 머리를 잘 말리고 옷을 갈아입은 후, 나오자마자 이불 안으로 들어가 체온 변화를 최소화해야 한다. 찬물에 몸을 담그거나 지나치게 찬물을 마시는 일은 삼가야 한다. 겨울이라면 실내에서 충분히 옷을 챙겨 입고, 되도록 외출을 피하는 것이 좋다. 외출이 필요한 상황이라면 심하다 싶을 정도로 잘 무장하고 모자도 꼭 써야 한다.

또 관절을 지나치게 사용하지 않고 아껴야 한다. 출산 과정에서 아기가 골반을 통과해야 하기 때문에, 출산 전후 관절은 이완된 상태이며 회복까지는 3~5개월 정도가 소요된다. 류머티즘 관절염의 경우 1/3이 산후에 발생한다는 조사 결과도 있다. 출산 후에는 척추도 벌어져 있어 무리하면 주변 근육이나 인대에 통증을 일으킬 수 있다. 그렇지만 너무 누워만 있어선 안 되고, 하루 15~-20분 정도의 가벼운 보행은 필요하다.

산후풍의 한방치료는 극도로 허해진 산모의 몸을 회복시키고, 기혈을 크게 보충하여 산후풍을 예방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증상에 따라 어혈을 제거하고 기혈 순환을 촉진하며, 관절을 튼튼히 하는 약재를 처방한다. 또 통증 완화를 위해 진통과 소염 효과가 있는 처방으로, 산후풍의 직접적 증상을 완화하게 된다.

<글 = 인애한의원 강남점 정소영 원장 (한의사)>

  • 공유하기

    주소 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trl + v 를 눌러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하세요.

    확인
    닫기
정소영 의료법인 성누가의료재단 성누가병원 한의사
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