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건강Q&A

질문

경구피임약으로 생리 미룰때, 배란 후에 먹으면 왜 피임 효과가 없나요?
SMART TAG : 산부인과, 피임, 복약

피임약으로 생리를 미룰 때, 예정일 7~10일 전부터 복용을 시작하는 경우에는 배란이 이미 되었기 때문에 피임 효과가 없고, 콘돔을 사용해야한다는 답변을 보았습니다.

일반적으로 난자의 수명은 길어야 이틀이라고 하는데, 배란을 하고 나서 피임약을 먹는다면 피임약과 무관하게 이미 난자의 수명이 다 된 상태가 아닌가요? 다시말해, 어차피 임신을 할 수 없는 상태잖아요.

해당 문구가 불규칙한 배란 주기 하에서 피임약의 오용을 막기 위한 단순한 주의문구인지(그 달에 유독 배란이 늦었다면, 피임약은 아직 효과를 볼 수 없는 시기이기에 임신 위험이 있으므로),
아니면 정말 피임약이 난자의 수명을 늘리는 기전이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답변

Re : 경구피임약으로 생리 미룰때, 배란 후에 먹으면 왜 피임 효과가 없나요?
황태영
황태영[전문의] 오즈산부인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68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산부인과 상담의 황태영입니다.
피임약이 난자의 수정가능 기간을 연장하는 역할을 하지는 않습니다.
예정일 7~10일 전에 복용한다는 것은 배란일로부터 4~7일 후에 복용하라는 말과 같습니다.
그래서 배란일을 정확히 모른다면 복용시작일을 결정할 수 없습니다.
그리고 배란 전에 피임약을 복용하면 오히려 배란을 유도할 수 있으므로 배란일을 모르면서 피임약을 복용한다면 다른 피임법을 병용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