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건강Q&A

질문

안과 관련 질문 드립니다.
SMART TAG : 혈관, , 안과, 종양

제가 선천적으로 망막에 혈관 종양이 있습니다. 고등학생 시절에 발견하게 되었고 발견 당시 대학병원에서 망막에 혈관종이 있다면 뇌에도 혈관 기형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하여서 뇌 혈관조영술을 한 결과 뇌 혈관에는 이상이 없었습니다. 그 이후로는 눈에 큰 덩어리가 떠다니거나 혈관이 터진 것 같으면 대학병원에 찾아오라고 하셨습니다.
하지만 그 당시 병명을 듣지 못해 병명이 무엇인지 알고 싶어서 이렇게 질문 남깁니다. 찾아보니 대학병원 진료 당시 와이번 메이슨 증후군을 의심하였던 것 같은데 눈에만 혈관 종양이 있고 뇌에는 혈관 기형이 없다면 이 증후군이 맞는지 아닌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그리고 혈관 기형이 있는 상태에서 앞으로 조심할 점이 무엇인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Re : 안과 관련 질문 드립니다.
배병제 하이닥 스코어: 89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배병제입니다.
망막에 혈관 종양이 있고 뇌 혈관에는 이상이 없다면, 와이번 메이슨 증후군(Wyburn-Mason Syndrome)일 가능성은 낮습니다. 이 증후군은 눈과 뇌 모두에 혈관 기형이 존재하는 경우가 일반적입니다. 그러니 정확한 병명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당시 진료본 의사에게 직접 문의해보시는게 가장 정확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답변

Re : 안과 관련 질문 드립니다.
김태완
김태완[전문의] 에스앤유SNU청안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2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안과 상담의 김태완입니다.
폰히펠-린다우병은 망막모세혈관종과 중추신경계의 혈관모세포종, 신장과 췌장의 낭종 등 다양한 임상 양상을 나타냅니다. 말씀하신 와이번 메이슨 증후군 또한 망막의 동정맥기형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종양의 크기나 위치, 합병증 유무 등에 따라 치료가 다르므로, 정기적인 안과 검진이 필요할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인기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