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건강Q&A

질문

혈청 크레아티닌 증가 질문

2개월 전에 검진을 했을 때 혈청 크레아티닌이 1.0 나왔었습니다. 원래 0.9~1.0 사이로 나왔는데요
이번에 피검사를 해보니 1.22가 나왔습니다. 2개월만에 이렇게 높아질 수 있나요?? 체중은 마른편이고 운동도 빡세게 하지 않습니다. 단백질도 적당히 먹구요.
다만 검진 받기 전 전립선염으로 항생제를 2~3주 복용한게 다입니다. 이 정도로 크레아티닌이 높아질 수 있나요?
아직 만으로 30인데 걱정입니다.


답변

Re : 혈청 크레아티닌 증가 질문
이이호
이이호[전문의] 창원파티마병원
하이닥 스코어: 2015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이이호입니다.

혈청 크레아티닌이 2개월 만에 0.9에서 1.22로 증가한 것은 신장 기능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신호입니다. 크레아티닌은 근육에서 생성되는 대사산물로, 신장에서 소변으로 배출됩니다. 따라서 크레아티닌 수치가 증가하면 신장의 기능이 저하되어 소변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혈액에 쌓이기 때문입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체중이 마른편이고 운동을 빡세게 하지 않으며 단백질도 적당히 섭취한다고 하셨습니다. 따라서 근육량이 증가하여 크레아티닌 수치가 증가했을 가능성은 낮습니다.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전립선염으로 인한 항생제 복용은 크레아티닌 수치 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항생제 중에는 신장에 독성이 있는 약물도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전립선염으로 인한 항생제 복용으로 인해 크레아티닌 수치가 크게 증가하는 경우는 드뭅니다.

따라서 질문자님의 경우, 다른 원인으로 인해 신장 기능이 저하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신장 기능 저하의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만성 신장 질환
급성 신부전
신장결석
요관 폐색
약물 부작용
당뇨병
고혈압
자가면역질환
기타 심각한 질환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만으로 30세의 젊은 나이에 신장 기능 저하가 발생할 가능성은 낮습니다. 그러나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가 증가한 것은 신장 기능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신호이므로, 가까운 시일 내에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병원에서는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 외에도 혈액요소질소(BUN), 소변검사, 신장 초음파 검사 등을 통해 신장 기능을 평가할 것입니다. 검사 결과에 따라 신장 질환의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실 수 있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답변

Re : 혈청 크레아티닌 증가 질문
홍인표
홍인표[전문의] 닥터홍가정의학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4472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가정의학과 상담의 홍인표입니다.
크레티닌 수치는 여러가지 이유로 오르락 내리락 합니다. 크게 걱정하시지 말고 추적검사를 받아보세요. 혹시 검사한 병원이 다르면 수치가 좀 다를 수 있어요. 계속오르는 경향이있으면 신장내과 진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