혈압약을 3년정도 스스로 복용을 끊으면 어떻게 되나요?
저는 혈압약을 복용했다가 고혈압의위험성 신부전 심부전의 위험성을 모르고 약 2년10개월간 혈압약을 끊었는대요
병원도착하자마자 안쉬고 바로 측정한 혈압은 240/130
조금 쉬고 측정한 혈압은 221/120이였습니다.
초기진료시 크레아티닌 1.4 단백뇨 2+ 였습니다.
다행이 혈압약 한달복용하니 혈압은 정상회 되었고 피검사하니 크레아티닌 1.2 단백뇨 경계 시스타틴C 1.3 이였습니다.
그 이후에 꾸준이 혈압약을 복용해서 혈압은 재진료 2년이후인 지금도 정상으로 유지중입니다.
단백뇨는 경계 아니면 음성 단백뇨(정량)검사는 보통 ~0.1 정도로 단백뇨는 정상화 되었는대요
크레아티닌 수치가 1.12 1.29 최근 피검사는 크레아티닌 1.06 사구체여과율 CKD-EPI 92프로 MDRD 81프로가 나왔습니다.
의사선생님은 급성신부전이 왔던 것 같다고 말슴하시고 더 이상 신장내과는 진료보지 않고 순환기내과에서 외래진료만 보고 있는대요
이러면 콩팥에 대한 걱정은 안해도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인터넷에서 알아보니 크레아티닌 수치가 올라가면 콩팥세포가 절반이상 망가진거라고 하는대 사실인지 궁금합니다.
옛날 피검사 결과를 보니 크레아티닌 수치는 1.05 1.05 1.03 0.92 .093 이였습니다.
지금은 수치가 옛날에 비해 조금 상승했으니(1.06) 콩팥세포가 절반 이상 망가진 건가요?
그리고 고혈압으로 심부전도 온다고 하는대 대학병원 순환기 내과에서 심장MRI 심전도 검사해서 다행이 심장은 정상이라고 하는대 그러면 심장 걱정도 안해도 되는건가요? 심장MIR 심전도검사로 심장 정상인 것을 알수 있나요?
몇달뒤 해외로 취업해서 해외로 이주하게 되는대 걱정되어서 여기에 있는 의사 선생님들에게 질문을 남기게 되네요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