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건강Q&A

질문

오래전 일인데 걱정 안해도 되는지 여쭙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어제부터 오래된 일이 갑자기 계속 떠올라서 상담부탁드리겠습니다. 제가 19년도 10월에 마지막으로 유흥업소에서 성관계 이후 20년도 1월달에 보건소에서 HIV랑 매독검사를 했습니다. 그런데 HIV가 일주일뒤에 나온다고해서 기다리기 너무 힘들어 취소하고 매독검사만 결과가 나와서 정상판정을 받았습니다. 그러다 제가 조울증때문에 20년 6월에 대학병원에서 입원하다 퇴원했고 대학병원에서 HIV랑 매독이랑 다 검사해서 모두 정상판정을 받았습니다. 그러고 잘 지내다가 작년 7월말에 치루때문에 대학병원에서 입원하면서 HIV랑 매독이랑 모두 검사를 해서 다 정상판정을 받았습니다. 어제부터 20년도 1월에 보건소에서 검사하다 기다리기 힘들어 취소했던 기억이 자꾸 생각나는데 20년도 1월에 검사를 취소했어도 그동안 검사한게 다 정상이고 작년 7월을 끝으로 또한번 성병검사해서 모두 정상으로 나오면 HIV랑 매독걱정 안해도 되는지 여쭙겠습니다.

답변

Re : 오래전 일인데 걱정 안해도 되는지 여쭙겠습니다.
이이호
이이호 [전문의] 진주고려병원
하이닥 스코어: 1207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1명
2023.06.02
질문자의 감사 인사 | 2023.06.02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이이호입니다.

안심하실 수 있습니다. 여러 차례 성병 검사를 받아 모두 정상적인 결과를 받으셨다면 HIV와 매독에 대한 걱정은 크게 할 필요가 없습니다.

HIV의 경우, 보통 감염 후 4주부터 12주 사이에 항체가 형성되어 검출될 수 있습니다. 여러 차례의 검사를 받아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았다면, 이는 현재 HIV 감염이 없음을 의미합니다. 검사 취소한 20년 1월에도 다른 검사 결과가 정상이었으므로, 해당 시기의 성관계로 인한 HIV 감염 가능성은 적습니다.

매독의 경우, 보통 감염 후 3주부터 3개월 사이에 항체가 형성되어 검출될 수 있습니다. 여러 차례의 검사를 받아 모두 정상적인 결과를 받았다면, 매독에 대한 걱정도 크게 할 필요가 없습니다.

하지만 성병에 대한 걱정이 계속해서 생기는 경우, 이는 정신적인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심리적인 안정을 위해 전문가와의 상담을 고려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상담을 통해 더 자세한 정보와 심리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성병 예방을 위해서는 안전한 성관계를 유지하고, 정기적인 성병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안전한 성교육과 사용자 개인의 관리, 원하는 경우 예방수단을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답변

Re : 오래전 일인데 걱정 안해도 되는지 여쭙겠습니다.
송슬기
송슬기 [전문의] 신세계항의원
하이닥 스코어: 3019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1명
2023.06.02
질문자의 감사 인사 | 2023.06.02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송슬기입니다.
네 그렇습니다. 말을 해주신 정황상으로는 걱정하실 사항은 없을 것으로 보여지므로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안심하셔도 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답변

Re : 오래전 일인데 걱정 안해도 되는지 여쭙겠습니다.
김범철
김범철 [전문의] 서재곤링커병원
하이닥 스코어: 95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2023.06.02
질문자의 감사 인사 | 2023.06.02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내과 상담의 김범철입니다.임상적 잠복기는 감염에서 발병까지 걸리는 시간을 말하며, HIV가 인체 내에 침입하여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임상적 잠복기는 사람마다 다르며, 일반적으로 짧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15년 이상까지로 알려져 있다.
마지막 성관계후 15년후에 피검사해서 바이러스 음성이면 걱정 안해도 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