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건강Q&A

질문

처음 당뇨 진단을 받았을 때 당화혈색소 11이 나왔습니다

당뇨를 앓은지 3년이 지났고 현재 저는 30대 초반의 여성입니다

우울증을 심하게 앓고 있던 터라 사실 당뇨 판정을 받은 순간부터 더욱 관리라는 걸 하지 않았어요 저는 심한 탄산 중독을 가지고 있어서 사실 자포자기하는 마음에 마구 마셔댔던 것 같습니다 사실 당뇨 판정 받은 초기에 약도 잘 먹고 탄산도 끊으려고 탄산수도 마시고 노력이라는 말이 우스을 정도로 아주 당연한 변화를 주려고 시도를 해서 당화혈색소를 6까지 낮추긴 했는데요

집안 사정상 안 좋은 일이 겹겹이 발생하다 보니 우울증이 더 심해지고 저를 포기하게 됐어요 그때부터 심각할 정도로 식단 관리를 하지 않았습니다 병에 걸리기 전처럼 탄산 음료를 마셔댔고, 정신과를 포함한 한 달에 한 번 가야하는 내과도 가지 않고 약도 먹지 않았어요 그러다 최근에 우울증으로 입원 치료를 하게 되어 우울 증상이 호전되어 다시 내과에 방문했는데 당화혈색소 13이라는 말을 듣게 됐어요

당뇨는 초기에 관리를 잘해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말을 들었어요
하지만 저는 3년 동안 제 몸을 혹사했고 지금부터 관리를 하더라도 당화혈색소를 다시 6까지 낮출 수 있을지 너무 걱정이 돼요...

저는 진짜 심각한 탄산 중독입니다 물을 절대 안 먹고 탄산 음료만 먹었어요 이 상태가 되다보니 생수를 마시면 비린 맛이 너무 강해 헛구역질이 나와 물을 먹는 게 고통스러웠어요 아마 제가 당뇨에 걸린 것도 가족력과 탄산을 미친 듯이 마셔서 그런 것 같습니다...


혹시 당뇨를 3년 동안 방치한 상태에서

당뇨 약을 절대 끊지 않고 먹고 음식 관리를 하고 운동을 병행한다면 당화혈색소 6까지 내릴 수 있을까요?


답변

Re : 처음 당뇨 진단을 받았을 때 당화혈색소 11이 나왔습니다
이이호
이이호[전문의] 창원파티마병원
하이닥 스코어: 1817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질문자의 감사 인사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이이호입니다.

당뇨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식단 조절, 운동, 약물 복용 등이 중요합니다. 당뇨를 방치한 상태에서 당화혈색소를 다시 6까지 낮출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개별적인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전문의의 조언과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당뇨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식단 관리: 건강한 식단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당뇨 환자는 탄수화물 섭취량, 단백질 섭취량, 지방 섭취량을 적절하게 조절해야 합니다. 영양사나 당뇨 전문의와 상담하여 개인에 맞는 식단 계획을 수립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 꾸준한 신체 활동은 당뇨를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일상적인 활동과 유산소 운동, 근력 운동을 조절하여 체중 감량과 혈당 조절을 도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운동을 시작하기 전에 의사나 당뇨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운동 방법과 강도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약물 복용: 당뇨 약물은 혈당 조절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약물 복용은 의사의 처방에 따라 정확한 용량과 시기에 복용해야 합니다. 약물 복용을 중단하거나 스스로 조절하는 것은 권장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당뇨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의사나 당뇨 전문의와 상담하여 개인 맞춤형 관리 방안을 수립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답변

Re : 처음 당뇨 진단을 받았을 때 당화혈색소 11이 나왔습니다
송슬기
송슬기[전문의] 신세계항의원
하이닥 스코어: 3110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0명
질문자의 감사 인사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송슬기입니다.
네 그렇습니다. 말을 해주신 정황상으로는 당뇨약의 치료제로 많은 방법이 있습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치료에 집중하시면 좋은 결과 가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