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건강Q&A

질문

명치통증 질문

안녕하세요.

그저께 점심 저녁에 식후 1~2시간 이후 명치통증이 나타났었습니다. 화끈거린다고 할까요. 상당히 아팠었는데요.

어제도 아침 점심은 괜찮았었습니다만 저녁먹고 집에 도착해 침대에 앉으니 한두시간 이따가 그저께처럼은 아니지만 통증이 있었습니다.

최근에 엄청나게 스트레스 받을일이 있어서 호흡도 많이 얕아졌었고(복식호흡도 거의 안될정도로 심각했었습니다. 지금은 많이 나아졌습니다만 뭔가 답답하다고 느낄때가 있습니다) 많이 완화되긴 했지만 배에 가스가 차고 하루에 두번정도 대변을 보는 과민성대장 의심상태라(해외에 있어서 다음달에 검사예정) 스트레스때문에 소화가 안되는가 싶으면서도, 살면서 명치가 아파본건 처음이라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저같은 경우는 보통 소화불량으로 진단할수있나요?


답변

Re : 명치통증 질문
홍인표
홍인표[전문의] 닥터홍가정의학과의원
하이닥 스코어: 4261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1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가정의학과 상담의 홍인표입니다.
소화불량 증상도 있을 수 있지만 일단 상복부 통증으로 생각됩니다 가능한 원인으로 과민성 대장증상이나 기능성 위장장애 의심됩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답변

Re : 명치통증 질문
김범철
김범철[전문의] 서재곤링커병원
하이닥 스코어: 153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1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내과 상담의 김범철입니다.

소화불량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위산이 역류하면 명치통증이나 화끈거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내과병원에가서 위장점막 보호제 받는 게 좋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

답변

Re : 명치통증 질문
이이호
이이호[전문의] 창원파티마병원
하이닥 스코어: 1936
이 답변에 동의한 전문가
0명
이 답변을 추천한 사용자
1명
안녕하세요. 하이닥 외과 상담의 이이호입니다.

귀하의 증상은 식후 1~2시간 이후에 명치 통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아, 소화불량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소화불량은 위장관 기능의 이상으로 인해 음식물의 소화 및 흡수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질환입니다.

소화불량의 증상으로는 명치 통증, 소화불량, 가스, 구역, 구토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귀하의 경우, 식후 명치 통증, 배에 가스, 과민성 대장 증후군 등이 나타나고 있어 소화불량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소화불량의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스트레스
스트레스는 위장관 기능을 저하시켜 소화불량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귀하의 경우, 최근에 스트레스를 많이 받으셨다고 하셨으므로, 스트레스가 소화불량의 원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음식물 알레르기 또는 불내증
특정 음식물에 알레르기 또는 불내증이 있는 경우, 해당 음식물을 섭취하면 소화불량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귀하의 경우, 최근에 식습관에 변화가 있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위산 역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식도 점막을 자극하면 명치 통증, 가슴 쓰림, 속 쓰림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위장관 질환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과민성 대장 증후군,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의 위장관 질환이 있는 경우, 소화불량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귀하의 경우, 소화불량의 가능성이 높지만,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병원에서는 증상의 양상, 가족력, 생활습관, 기타 동반 증상 등을 확인하고, 필요에 따라 내시경 검사, 위산 검사, 혈액 검사 등의 검사를 시행하여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소화불량의 치료는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스트레스가 원인인 경우, 스트레스 관리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음식물 알레르기 또는 불내증이 원인인 경우, 해당 음식물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산 역류가 원인인 경우, 제산제, 프로톤 펌프 억제제 등의 약물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위장관 질환이 원인인 경우, 질환에 맞는 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 본 답변은 참고용으로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