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질환·치료

인체 내에 존재하며 당 대사 조절 등의 기능을 하는 ‘지질 조절제’와 유사한 물질들이 개발됐다.

건국대 KU융합과학기술원 오덕근 교수(융합생명공학과) 연구팀은 “미생물에 존재하는 효소를 이용해 지질 조절제와 유사한 물질을 개발, 당뇨병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혈당검사혈당검사

당뇨병은 인슐린 분비 기능의 문제로 생기는 난치성 대사질환으로, 최근 30대 이상 성인의 10명 중 3명이 당뇨병 또는 당뇨 고위험군으로 보고되면서 이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현재 사용되는 당뇨병 치료제는 강력한 효과를 가진 반면 심부전 발병 및 체중 증가 등의 부작용을 동반하고 있어 대체 치료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연구팀은 부작용이 적은 당뇨병 치료를 위해 천연 물질의 발굴에 주목, 일부 미생물로부터 인간 유래 지질 조절제인 헤폭실린, 트리오실린 등의 물질들을 합성해냈다.

지질 조절제란 면역, 항염증, 포도당 대사 조절, 지방 대사 조절 등 다양한 생리활성 기능에 관여하는 물질로 헤폭실린은 인슐린 분비 촉진, 칼슘의 수송 등 생리 활성을 돕는 물질이며, 트리오실린은 헤폭실린이 가수분해효소에 의해 전환되는 3개의 수산기를 가지는 물질이다.

연구팀은 지질 조절제의 생합성에 관여하는 효소와 그 대사 경로도 규명했다. 인체 내에서 지질 조절제를 합성하는 지방산화효소, 수산화지방산 형성 효소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유사 단백질을 미생물에서 발견했으며, 이를 활용해 다양한 지질 조절제를 생합성했다.

오 교수는 “이번 연구는 미생물을 이용해 인체 내에 극미량 존재하는 지질 조절제를 대량으로 개발, 생산해 낸 것”이라며 “향후 당뇨병, 염증, 감염 치료 등의 기능이 있는 다양한 지질 조절제를 생합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이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

  • 공유하기

    주소 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trl + v 를 눌러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하세요.

    확인
    닫기
박혜선 하이닥 건강의학기자 | hidoceditor@mcircle.biz
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