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질환·치료

학교 운동장에서 초등학생을 납치해 성폭행한 김수철, 딸의 초등학교 동창인 여중생을 유인해 성추행 후 살해한 이영학, 5~6살 아이들에게 유사 성행위를 시킨 어린이집 교사까지 어린아이들을 상대로 한 범죄가 끊이지 않고 있다.

피해자는 대부분 2차 성징이 나타나지 않은 어린이이었고, 가해자는 평소 아동 포르노나 음란물에 취해 있는 성인이었다. 정상이라면 상상할 수도 없는 이런 일을 저지른 이들에게 전문가들은 ‘소아기호증’ 환자라 진단했다.

소아기호증은 성도착증 중에서도 가장 흔하고, 심각한 정신질환 중 하나다. 자신의 욕구를 해결하기 위해 언제든지 범행에 나설 수 있기 때문에 소아기호증 환자들은 잠재적인 ‘아동 성범죄자’로 분류된다.

▲ 소아기호증이란?

얼굴을 감싸고 앉아있는 어린이얼굴을 감싸고 앉아있는 어린이

소아기호증(Pedophilia)은 사춘기 이전의 소아(대개 13세 이하)와 성행위를 하거나 성행위 하는 공상으로 성적 흥분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 보통 18세 전후해서 많이 발병하는데, 중년 이후에 발병하기도 한다. 대부분 겉으로는 전혀 구별되지 않아 주변에 있는 소아기호증 환자를 눈치채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환자가 남성일 경우 대상인 어린이는 이성일 경우가 더 많고, 대부분 8~10세 사이의 소녀를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동성애적인 남성은 이보다 더 나이가 많은 남자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며, 어떤 환자는 소아에게만 성적 매력을 느끼지만, 어른에게서도 성적 매력을 느끼는 환자도 있다.

이들은 평소에 범행대상과 장소를 물색하고 다니다가 아이에게 접근하여 과자를 사주거나 머리를 쓰다듬는 등 친근함을 표시하며 다가간다. 가해자 대부분이 같은 동네 주민이거나 오다가다 많이 봤던 가게 아저씨인 경우가 많으며, 간혹 아이의 친부 또는 계부도 있다.

환자에 따라 단순한 접촉이나 자위 등 보여주는 식의 행동부터 실제 성행위와 함께 폭력을 행사하기도 한다. 또한, 범행을 저지르고 난 후 자신의 정체가 탄로 나는 것이 두려워 살인도 서슴지 않는다.

▲ 원인은 무엇일까?

전문가들은 소아기호증의 원인을 세 가지 관점에서 보고 있다.

1) 생물학적 원인: 남성호르몬 과다

소아기호증 환자가 가운데 74%가 남성호르몬 수치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2) 정신분석학적 관점: 성적 콤플렉스

어린 시절 성추행이나 성폭행을 당한 경험이나 결혼생활 또는 성생활에 문제가 있는 경우, 정상적인 성행위를 할 수 없는 노인, 병약자 등에서 많이 나타난다.

3) 사회심리학적 관점: 포르노물을 통한 학습효과

어린 나이부터 성인물을 접하게 되면 모방심리가 작용하고, 소아기호증으로 발전해 성범죄로 이어진다.

▲ 내 아이가 피해자? 성격 및 행동 변화에 주목

어두운 곳에 숨어 있는 어린이어두운 곳에 숨어 있는 어린이

모든 성범죄자가 소아기호증을 가진 것은 아니지만, 약한 아이들을 의도적으로 노리는 성범죄자들이 있어 아이들은 범죄 희생양이 되기 쉽다.

하지만 성적 피해를 본 대부분 어린이는 자신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잘 모르거나 말로 표현하는 것이 어려워 자신이 겪은 일을 바로 알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단, 성적 피해를 본 아이들은 기존의 성격이나 행동이 달라지면서 다음과 같은 행동변화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부모들이 자신의 아이의 성격 및 행동에 변화가 있는지 관심 있게 지켜보는 것이 중요하다.

- 잦은 자위행위

- 공격적인 성격

- 이유 없이 겁을 많이 냄

- 잦은 악몽

- 아기처럼 행동하는 퇴행

- 친구들과의 관계가 갑자기 나빠짐

- 학교 성적이 급격히 떨어짐

▲ 소아기호증 진단기준은?

다음의 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하면 소아기호증을 의심할 수 있다.

◇ 보통 13세 이하의 유아·소아에게 성적 흥분을 강하게 느끼며, 적어도 6개월 이상 지속한다.

◇ 공상, 성적 충동, 행동 때문에 일상생활·대인관계에서 어려움을 겪은 적이 있다.

◇ 나이가 적어도 16세 이상이며 대상 아동보다 5살 이상 연상이다.

소아기호증은 일단 발병하면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예방을 위해서는 부모로부터의 적절한 사랑과 관심 등 좋은 부모·자녀 관계를 통해 아이에게 건강한 자아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만약, 자신의 가족이 소아기호증이 의심된다면 알려지는 것이 두려워 숨길 것이 아니라 전문가에게 상담하고 적극적으로 치료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그것만이 ‘소아기호증’으로 인한 피해자를 만들지 않고, 환자와 가족 모두가 더 큰 상처를 받지 않는 길이다.

  • 공유하기

    주소 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trl + v 를 눌러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하세요.

    확인
    닫기
최은경 하이닥 건강의학기자 | hidoceditor@mcircle.biz
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