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메디컬뉴스

보건복지부가 국내 유입된 메르스 바이러스 분리 및 전체 유전체 분석 결과 기존 중동지역 메르스 바이러스와 거의 일치하며 유전자 변이는 없었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의료원은 우리나라의 두 번째 메르스(MERS) 환자의 검체로부터 바이러스 분리 배양 및 전체 유전체 염기 서열 분석을 수행했다. 전체 유전체 염기 서열이란 해당 바이러스의 유전 정보를 지니고 있는 최소 정보 단위의 순서로 메르스 바이러스의 유전체의 염기는 약 3만여 개였다.

국내 메르스 바이러스 전자현미경 사진 160,000 배율국내 메르스 바이러스 전자현미경 사진 160,000 배율

배양한 메르스 바이러스 전체 염기 서열을 완성하여 국내 바이러스학회,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네덜란드 의과학연구센터(EMC·Erasmus Medical Center) 등 국내외 바이러스 전문연구기관 및 협회와 유전자 염기 서열 정보를 공유한 결과 우리나라에 유입된 메르스 바이러스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에 유입된 메르스 바이러스가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지역에서 유행하였던 바이러스와 거의 일치하는 유전자 염기 서열을 나타냈다.

첫 메르스 바이러스인 EMC 표준주(GenBank No. JX869059)와는 99.55% 일치했다. 또한, 그간 알려진 메르스 바이러스 55개 유전자 정보 중의 하나인 사우디아라비아 분리주 (GenBank No. KF600628, KSA_Hafr-Al-Batin_2013)와는 99.82%로 가장 높은 일치를 보였다.

EMC 표준주는 메르스 바이러스가 첫 발견된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 환자로부터 EMC(네델란드 의과학연구센터)가 처음으로 분리한 바이러스로 미국 국립보건연구원(NIH·National Institues of Health)의 유전자정보은행(GenBank)에 `JX869059‘ 번호로 보관돼 있으며, 메르스의 변종 등을 비교할 때 표준이 된다.

하지만 정부의 변이가 없었다는 발표에도 바이러스를 연구하는 전문가들 사이에서 “서열이 99.99%가 같아도 변이는 일어날 수 있다”는 반론이 제기되고 있다.

설대우 중앙대 약학대 교수는 “최근 고병원성 조류독감바이러스(H5N1)가 사람의 세포 속에서 변이가 이뤄진 게 확인됐는데, 이때 변이 전 바이러스와 변이 후 바이러스 염기서열이 99.99%가 일치 했었다”며 “지금 정부는 염기서열 일치율에 대해 각각 99.55%, 99.82%를 얘기하는데 이런 이론을 근거로 변이가 안 일어났다고 얘기할 수 없다”고 말했다.

  • 공유하기

    주소 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trl + v 를 눌러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하세요.

    확인
    닫기
최은경 하이닥 건강의학기자 | hidoceditor@mcircle.biz
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