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질환·치료

지난 29일 가톨릭대학교 성의회관 마리아홀과 의생명산업연구원에서 개최된 대한임상노인의학회(이사장 이관우) 추계학술대회에서 '방문 진료: 누구를 대상으로 누가,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강의한 서울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김경수 교수는 “가정 주치의의 대상은 암 수술 후 추가 처치가 필요한 경우, 항암치료로 외부 출입 힘든 상태, 치매 혹은 뇌경색 등으로 재택 요양 관리가 필요한 경우, 천식 등을 앓는 거동이 불편한 고령 환자”라며 2017년 2월부터 의사가 직접 환자 가정을 방문해 진료 및 처치했던 경험을 공유했다.

의료진 상담의료진 상담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는 2025년에 1,000만 명이 넘고, 2035년에는 1,500만 명이 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정부는 2018년부터 지역사회 돌봄(커뮤니티 케어) 선도 사업을 발표하고, 2019년 9월부터 전국 8개 기초지자체에서 사업을 시행 중이다. 김 교수에 따르면 가정 주치의는 입원환자가 퇴원 후 일상생활로 잘 복귀할 수 있도록 의학적 돌봄을 제공하고, 재입원시 주 진료 외 각종 문제에 대하여 전반적 돌봄과 중재를 한다. 또한 재원 기간 관리와 퇴원 후 계획을 수립하여 이에 대한 의학적 설명 및 필요 시 지역사회 2차병원 혹은 요양병원으로 연결하고, 지역사회 의료기관의 의료진과 환자에 대하여 정보교류 및 소통을 하는 관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한다.

가정 주치의제도 향후 계획 가정 주치의제도 향후 계획

△ 사진 = 대한임상노인의학회 제공

기존 가정간호와의 차이점은 좀 더 빠른 의사결정 및 소통을 통한 원활한 연계 시스템 구축, 주 진료과 의료진들이 수술, 시술 및 급성기 응급치료에 집중하도록 도움을 주는 데 있다. 또한 환자와 가족 중심의 연속진료를 통해 자연스럽게 건강한 일상으로 돌아갈 수 있는 연결 고리 역할이 가정 주치의의 주된 목적이며, 협업을 통한 보다 질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환자와 가족들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가정주치의 제도 향후 계획 가정주치의 제도 향후 계획

△ 사진 = 대한임상노인의학회 제공

마지막으로 김 교수는 “향후 이러한 가정주치의 제도의 확산을 위해서는 전담부서의 설립 및 운영, 찾아가는 진료라는 새로운 진료 패러다임의 전파, 비암성 말기환자의 돌봄 서비스 개발, 지역사회 의료기관과 연계한 차원 높은 진료 전달체계의 확립과 더불어 진료, 교육, 그리고 연구를 고루 갖춘 센터의 설립이 필요하다”고 역설하였다.

서울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김경수 교수 서울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김경수 교수

△ 사진 = 서울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김경수 교수, 대한임상노인의학회 제공

김경수 교수는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및 동 대학원을 졸업한 가정의학과 전문의로 현재 서울성모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편 대한임상노인의학회는 1992년 결성된 대한노인병연구회를 모태로, 노인질환의 예방, 치료 및 관리를 위한 연구와 학문적 교류를 통해 노인의학의 발전에 기여하고 노인의 복지를 증진시킬 목적으로 1999년 발족된 이래, 매년 춘추계 학술대회 및 노인의학전문 인정의 자격 고시를 시행하면서, 지회 연수강좌 및 집담회를 통해 노인 관련 여러 임상적 문제들에 대한 증례를 공유하고 올바른 평가를 통한 최선 치료지침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학회 홍보이사인 황희진 교수(국제성모병원)는 이번 학술대회에서 골다공증,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 노인질환 최신지견, 치매, 발기부전, 만성폐질환에서 사용되는 약물 바로 알기, 노화에 있어서 텔로미어 및 RNA 연구의 최신 동향, 지역사회 돌봄(커뮤니티 케어), 조절이 어려운 치매와 만성변비의 관리, 요양병원 입원환자 맞춤관리 전략에 대한 최신지견을 다뤄 학회장을 가득 채운 700여명의 청중들로부터 뜨거운 호응을 받았다고 자평하였다.

  • 공유하기

    주소 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trl + v 를 눌러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하세요.

    확인
    닫기
권예진 하이닥 건강의학기자 | hidoceditor@mcircle.biz
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