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질환·치료

근래에 다한증 치료를 위해 보툴리눔 톡신 주사법이 활발히 시행되고 있습니다. 보툴리눔 톡신 주사법은 손, 발, 겨드랑이, 안면, 두피, 체간 등 다양한 곳에 시행할 수 있지만 실제로 가장 많이 시행되는 부분은 손과 발입니다.

일반적으로 손과 발에 땀이 많이 나면 보툴리눔 톡신 주사는 두 곳 중 차례로 먼저 발생하는 부위나 더욱 불편한 부위에만 시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두 곳 모두 투여하면 한 번에 투여되는 보툴리눔 톡신의 용량이 너무 커지고, 50~60% 정도의 환자들에게서는 한 곳의 땀이 줄어들면 다른 곳의 땀도 줄어드는 경우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명확히 밝혀진 바는 없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 기전들을 추측해 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 우리 몸의 자율신경계는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둘은 서로 견제와 균형을 이루어 가면서 우리 몸의 항상성(homeostasis)를 이룹니다.

교감신경은 크게 구심성 신경(afferent nerve)와 원심성 신경(efferent nerve)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구심성 신경은 말초부분에서 중추신경계인 척수부분으로 향하는 신경을 말하고, 원심성 신경은 이와 반대로 중추신경계인 척수부분으로부터 말초부분으로 향하는 신경을 말합니다. 구심성 신경은 외부의 자극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원심성 신경은 자극에 대한 반응을 나타내는 역할을 합니다.

다한증다한증

정상적인 상황에서 발한은 특정 자극으로 땀이 많이 나게 되면 음성 되먹임 기전으로 인해 구심성 신경과 원심성 신경의 자극이 줄어들어 땀의 양이 줄어드는 것이 일반적인데, 다한증은 오히려 땀이 나오면 음성 되먹임 기전이 잘 작동하지 않아 신경들의 자극이 줄어들지 않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땀의 양이 증가하고, 땀이 다른 부위에서도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툴리눔 톡신 등으로 한 곳의 발한을 감소시키면 이러한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주는 역할을 합니다.

둘째, 자율신경계는 불수의적(不隨意的)인 반응을 담당하고 있는 곳이기 때문에 회로가 대뇌까지 올라가지 않고, 척수 부분에서만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쉽게 말하면 생각할 겨를이 없이 반사적으로 이루어지는 반응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습니다. 발한도 불수의적인 반응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다한증은 불수의적인 측면이 기본이 되겠지만 수의적인 측면도 있다고 생각됩니다. 진료현장에서 손, 발 다한증 환자분들과 이야기를 해보면, 작은 자극으로 손에 땀이 나면 더욱 긴장하게 되고, 자연히 손의 땀이 더욱 많아지며 발에도 땀이 나는 악순환이 반복된다는 생각이 들기 때문입니다.

또 명상이나 기도, 요가 등을 시행했을 때 땀 분비가 줄어들었다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즉 긴장, 불안 등과 같은 대뇌에서 형성되는 자극들이 교감신경과 같은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일반적인 발한은 불수의적인 측면이 대부분이고, 수의적인 측면이 별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다한증 환자는 상대적으로 수의적인 측면이 더 강조되어 나타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손, 발 다한증이 있는 사람이 손에 보툴리눔 톡신 주사법을 시행해 손에 땀이 나지 않는 상황이 된다면, 대뇌에서 형성되는 긴장, 불안 등과 같은 반응이 감소함으로써 발한이 다른 곳으로 확산되는 것을 억제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직 다한증의 영역에서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지만, 그동안 불수의적이라고 생각됐던 신체의 반응들을 수의적인 노력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이라는 개념하에 고혈압, 천식, 과민성 대장 증후군, 공황장애 등의 치료가 시도되고 있습니다. 일종의 ‘심신의학’으로 다한증 조절을 위해 응용될 수 있는 부분들이 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위에서 설명한 내용은 모든 과정이 명확히 밝혀진 사항은 아니며, 또 모든 다한증 환자들에게 적용되는 것도 아닙니다. 다한증과 신경계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져야 할 것들이 많지만, 의학이 발전함에 따라 점점 그 비밀이 밝혀질 것으로 기대합니다.

<글 = 에비타의원 김동현 원장 (흉부외과 전문의)>

  • 공유하기

    주소 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trl + v 를 눌러 원하는 곳에 붙여넣기 하세요.

    확인
    닫기
김동현 HiDoc 전문의
기사보기